01 영풍제지 시세조종 사건 개요 영풍제지는 회사명 그대로 제지 생산 기업으로 낯설지 않은 익숙한 오래된 상장기업으로 22년 10월 당시만 해도 주가는 2,000∼3,000원대에 머물었는데, 이후 지속적으로 주가가 상승 추세를 보이며 23년 8월경에는 50,600원까지 상승하였다. 즉, 1년도 안되는 기간 동안 15~20배 주가가 상승한 것이다. 과연 영풍제지에 무슨일이 있었던 것일까? 시장에서도 많은 궁금증고 의혹이 제기되었다. 무엇보다, 영풍제지라는 회사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상징적인 큰폭의 수익률을 일컫는 “텐배거”를 넘어서는 15~20배 주가가 폭등한 이유에 대해서 누구도 납득할 수 없었던 상황이기 때문이다. 02 드러난 주가조작 배후세력과 주가 폭락 하늘 높은 줄 모르며 1년도 채 안 되는 기간..
UBS 델타원 2조원 사고(2011)▶ 이전 관련 글 Kweku Aboboli 스캔들: Delta One 거래의 위험 https://kfact.tistory.com/405 01 Who is Kweku Adoboli ? 아도볼리는 아프리카 가나 출신이며 그의 부친은 국제연합(UN)의 고위직을 지낸 인물로 알려졌다. 그는 가나에서 유년기를 보내고 가족을 따라 이스라엘 시리아 등 여러 나라를 거친 뒤 1991년 10살 무렵 영국으로 건너왔으며, 웨스트요크셔의 애크워스 기숙학교를 졸업하고 노팅험대학교(University of Nottingham)에서 2003년 전자상거래와 디지털비즈니스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대학을 졸업한 뒤 03.9월 아도볼리는 UBS에 인턴으로 입사하였고, 2년의 수습기간을 거친 뒤 2006..
Kweku Aboboli 스캔들: Delta One 거래의 위험 01 소개 2011년 9월 세계 최대 은행 중 하나인 UBS는 소속 직원의 허가받지 않은 임의적인 무단 거래로 인해 23억 달러의 거액의 손실을 입었다. 이 손실에 책임이 있는 트레이더 직원은 UBS 은행의 글로벌 합성 주식 사업부의 델타 1 트레이더인 Kweku Aboboli였다. 이 사건, 일명 “Adoboli 스캔들”은 은행 내 위험 관리 문제와 델타 원 거래와 관련된 잠재적 위험에 대한 큰 관심과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블로그에서는 대형 스캔들로 이어진 이 사건, 그리고 그 원인이 되는 Kweku Aboboli의 행동, 그리고 이 사건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을 살펴보려 한다. 02 스캔들로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파문을 일으킨 사건..
다시 떠오른 무역금융펀드의 악몽…긴장하는 우리은행01 더플랫폼 아시아무역금융펀드 우리은행과 신한금융투자, 현대차증권, 대신증권, 삼성생명, 교보생명 등 6개 판매사에서는 지난 2019년 4월부터 2020년 3월까지 '더플랫폼 아시아무역금융펀드'를 판매했다. 이 펀드는 플랫폼파트너스자산운용이 설계한 무역금융 펀드로 국제무역 회사들의 매출채권이나 채권에 투자한 뒤 만기 때 회사로 입금되는 거래대금을 투자자들에게 돌려주는 펀드다. 구체적인 투자 구조는 아시아무역금융펀드(ATFF)의 자(子) 펀드인 ‘OPAL-TA Alt Limited’(OPAL-TA)에 투자하는 형식이다. 02 2020년 4월부터 환매 연기 사태 발생 해당 펀드들은 지난 2020년 4월부터 환매 연기 혹은 중단에 들어갔다. 환매 연기로 총 1..
포트코리아자산운용 그린에너지 펀드 환매 중단 사태.. 또, 사모펀드 판매 사기?? 지난해 6월 KB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이 판매한 400억원대 규모의 영국 신재생에너지발전소 대출 투자 펀드 '포트코리아 그린에너지 1~4호'의 환매가 중단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투자자들은 운용사에 대한 사기죄 소송을 진행하면서 더욱더 사태는 미궁속으로 빠져들고 있는 상황이다. 정말 도대체 그동안 사모펀드는 정말 어떻게 운영된 것인지, 정말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은 라임펀드, 옵티머스펀드 사태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는 모양. 어쨌든, 간단하게나마 “포트코리아 그린에너지 사모펀드” 사태에 대해서 살펴볼까 한다. 01 英 포트코리아 그린에너지 1~4호 포트코리아 그린에너지 1·2호 사모펀드는 지난 2018년 9월 설정되..
이지스리얼에셋, 태양광 사모펀드 대규모 손실 발생 01 전 정권의 무리한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의 예견된 결과 이지스자산운용의 자회사인 이지스리얼에셋이 운용하는 태양광 사모펀드 부실발생으로 일각에서는 문재인 정권의 급격한 신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정책에 기대 우후죽순 생겨난 태양광 발전소 개발 사업의 부실 문제가 속속 드러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현실화되고 있어 앞으로 더욱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는 반응 업계에서도 이지스리얼에셋투자운용의 태양광 펀드 사고를 두고 결국 터질 게 터졌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문재인 정부 중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급속하게 추진되었고 이 과정에서 무분별하게 뿌려진 지원금을 노린 태양광발전 개발사들이 우후죽순 생겨난 것이 문제의 원인으로 현재 드러나고 있다는 지적 지난 정부의 신..
우리은행 및 신한은행, 거액의 불법 외환송금 의혹 01 우리은행, 특정 영업점서 8000억원 외환송금 6월말 우리은행의 한 영업점에서 8000억원라는 거액의 외환송금이 발생하여 금감원은 긴급 점검에 들어갔다. 금액 규모가 적지 않은데, 더욱 문제는 특정 영업점에서 이루어진 금액으로 매우 "이상한" 거래였다는 점이다. 아직 사실관계가 확인되지는 않지만, 다양한 가능성 중에 가상자산 관련 자금세탁 거래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더욱 관심이 높아지는 모양이다. 결국, 중국쪽으로 송금된 자금이라는 사실때문에 일명 가상자산 환치기로 보고 점검을 진행하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단독] 한 지점서 8000억이나 해외송금... 우리銀 현장검사 들어간 금감원 우리은행의 한 점포에서 최근 1년 동안 8,000억 원에 달하는 대규..
디스커버리펀드 환매 중단 사건(ft. 장하성 정책실장) 1. 논란 디스커버리 펀드 환매연기 사건은 문재인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을 역임한 장하성 주중대사와 관련되며 주목받아왔다. 장하성 주중대사는 이번 정부의 핵심 인물로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등 굵직한 정책을 이끈 중요 인물이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인 장하원 대표가 설립한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운용하는 펀드다. 그리고 이 디스커버리 펀드였의 환매 중단 사고가 지난해 발생하면서 최근까지도 분쟁이 지속되고 있고, 얼마전에는 경찰이 금융감독원을 압수수색하는 등 사건은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최초 디스커버리펀드와 관련해서 장하성 주중대사를 통한 정부와 모종의 연결고리가 있지 않느냐에 대한 의혹은 아직까지 밝혀진 사실은 ..
하나은행, 이탈리아 헬스케어펀드 사건 1. 상품 정보 요약 이탈리아헬스케어펀드를 판매한 하나은행은 2017~2019년 기간 중 동 상품을 이탈리아 병원들이 지역 정부에 청구할 진료비 매출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이라고 고객들에게 설명하고 판매하였다. 이탈리아 병원들은 지방정부 산하의 지역보건관리기구(ASL)에 진료비를 청구하는데, 지역보건관리 기구가 병원에 진료비를 지급하는데 통상 3개월 이상 소요되고 있어 동 펀드에 투자한 고객들이 자금을 진료비를 청구한 병원에 지급(수취채권 유동화)하고 동 펀드가 이후 지역보건관리기구가 병원에 지급하는 진료비 청구금액을 수취할 권리를 가지는 구조의 상품이다. (아래 그림 참조) 이 펀드 상품의 가장 큰 셀링 포인트(Selling Point)는 투자의 안정성이었다. 하나은..
[참고 : 사모펀드 사건 관련 포스트들] ▶ P2P금융의 민낯을 드러낸 팝펀딩 사건 ▶ 옵티머스 사건과 관련된 정재계 인물 및 기업 정리 ▶ 아름드리 펀드 투자자들의 집단 대응 움직임 ▶ 라임펀드 사건 총정리 ▶ '제2의 라임사태' 알펜루트, 2300억 환매 중단 : 피델리스 펀드의 결말 불완전 판매와 금융회사의 책임전가로 얼룩진 무역금융 펀드 피델리스 펀드 사건의 개요 피델리스 펀드 관련 뉴스가 최초 보도된 것은 지난해 20.7월 경이었다. 한국투자증권 등이 판매한 피델리스자산운용의 무역금융펀드인 "피델리스싱가포르무역펀드14호" 상환 실패 뉴스가 당시 가장 먼저 보도되었다. 19.5월 말 설정된 동 펀드는 한국투자증권과 신한금융투자에서 판매되었고, 펀드 설정액 총액은 157억 수준으로 알려졌다. 그리고..